성과/지식/홍보
통계데이터
번 호 |
6-1 |
정책사업 |
SW인재저변확충 |
세부 사업 |
소프트웨어교육 페스티벌 |
---|
■ SW교육 페스티벌 개요
(단위: 명, 개)
구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주제 |
두근두근, 소프트웨어와의 첫 만남 |
민・관이 함께하는 SW교육 체험의 장 |
모두를 위한 SW교육 |
언제나, 어디에나, 누구나, 바로나, SW교육 |
세상과 나를 이어주는 SW교육 |
함께 즐기는 SW, |
SW에 빠지다, AI에 반하다 |
기간 |
12.04.(금)~ 12.05.(토) |
10.28.(금)~ 10.29.(토) |
11.24.(금)~ 11.25.(토) |
10.12.(금)~ 10.13.(토) |
10.11.(금)~ 10.12.(토) |
11.03.(화)~ |
11.2.(화)~ 11.21.(일) |
장소 |
국립 과천과학관 |
킨텍스 제2전시관 10홀 |
킨텍스 제1전시관 2홀 |
벡스코 제2전시장 4C~4F홀 |
여수 세계 박람회장 |
온라인 |
온라인 |
관람객 수 |
18,442 |
20,297 |
36,874 |
48,046 |
51,184 |
206,041 |
261,208 |
프로그램 수 |
62 |
150 |
135 |
139 |
158 |
248 |
279 |
참여기관 수 |
59 |
120 |
106 |
138 |
167 |
244 |
133 |
자료출처 |
- 2021년 소프트웨어(SW)・인공지능(AI)교육 연차보고서 |
||||
---|---|---|---|---|---|
확보방법 |
- 2021년 페스티벌 운영 결과 보고(SW・AI인재양성팀) |
||||
주석 |
- 해당 사항 없음 |
||||
해설 |
- 2020년 SW교육 페스티벌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온라인으로 개최 |
번 호 |
6-2 |
정책사업 |
SW인재저변확충 |
세부 사업 |
소프트웨어 교원연수 |
---|
■ SW교육 교원연수 이수자 수
(단위: 명)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1,048 |
3,590 |
6,891 |
7,266 |
2,321 |
3,087 |
1,641 |
■ SW교육 교원연수 운영 만족도
(단위: 점)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 |
88.0 |
87.0 |
88.0 |
88.4 |
88.0 |
93.6 |
자료출처 |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자료 |
||||
---|---|---|---|---|---|
확보방법 |
- 종합연수의 경우 연도별 SW・AI교육 담당 교원 역량강화 연수 결과보고 확인 - 원격연수의 경우 재단 종합・원격교육연수원 작성 자료 확인 |
||||
주석 |
- 해당 사항 없음 |
||||
해설 |
- 코로나19 감염병 상황으로 인해 2020, 2021년 연수는 비대면 온라인으로 진행 |
번 호 |
6-3 |
정책사업 |
SW인재저변확충 |
세부 사업 |
SW・AI 에듀톤 대회 |
---|
■ 사업 예산
(단위: 백만 원)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 SW・AI 에듀톤 대회 참여자 수
(단위: 명)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456 |
786 |
894 |
638 |
912 |
889 |
자료출처 |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자료 |
||||
---|---|---|---|---|---|
확보방법 |
- (대회 참가대상) 초등교원양성대학* 및 컴퓨터교육과 설치 대학** 소속 재학생(2명/팀) * 경인교대, 공주교대, 광주교대, 대구교대, 부산교대, 서울교대, 전주교대, 진주교대, 청주교대, 춘천교대, ** 가톨릭관동대, 공주대, 성균관대, 순천대, 신라대, 안동대, 한국교원대(컴퓨터교육), 제주대(컴퓨터교육) |
||||
주석 |
- 2017년부터 ‘컴퓨터교육과 설치 대학’ 재학생 참여 - 2016년 ~ 2020년 ‘SW 에듀톤 대회’로 운영, 2021년부터 ‘SW・AI 에듀톤 대회’로 대회명 바뀜 |
||||
해설 |
- 해당 사항 없음 |
번 호 |
6-4 |
정책사업 |
SW인재저변확충 |
세부 사업 |
온라인 코딩파티 |
---|
■ 사업 예산
(단위: 백만 원)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
- |
- |
50 |
132 |
88 |
■ 온라인코딩파티 도전자/완료자 수 및 연간 미션 완료율
(단위: 명, %)
구분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계 |
---|---|---|---|---|---|---|---|
도전자 수 |
382,548 |
700,945 |
1,101,396 |
916,895 |
1,010,273 |
1,414,929 |
5,526,986 |
완료자 수 |
192,059 |
307,981 |
268,580 |
316,252 |
427,993 |
599,146 |
2,112,011 |
연간 미션 완료율 |
50.2% |
43.9% |
24.4% |
34.5% |
42.4% |
42.3% |
- |
자료출처 |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자료 |
||||
---|---|---|---|---|---|
확보방법 |
- 온라인 코딩파티 프로그램별 도전/완료자 수 데이터 값(운영기업별 제공) |
||||
주석 |
- 연간 미션 완료율: 완료자/도전자*100 으로 계산하되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 2020년 온라인 코딩파티는 코로나 상황을 고려, 본 행사 기간(2주)과 체험 기간(4주)을 같은 방식으로 운영 (기존 체험 기간은 인증서 미제공 → 2020년 체험기 간은 인증서 제공), 도전/완료자 수를 총 6주간의 데이터로 산출 - 2021년부터 행사 기간을 2주에서 6주로 확대 |
||||
해설 |
- 해당 사항 없음 |
■ 온라인 코딩파티 콘텐츠 수
(단위: 개)
구분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계 |
|
---|---|---|---|---|---|---|---|---|
시즌 1 |
블록코딩 |
1 |
1 |
2 |
5 |
4 |
11 |
24 |
텍스트코딩 |
1 |
1 |
2 |
2 |
2 |
5 |
13 |
|
컴퓨팅사고력 |
- |
- |
- |
2 |
2 |
3 |
7 |
|
인공지능 |
- |
- |
- |
- |
1 |
3 |
4 |
|
시즌 2 |
블록코딩 |
1 |
1 |
3 |
8 |
7 |
12 |
32 |
텍스트코딩 |
1 |
1 |
2 |
3 |
5 |
6 |
18 |
|
컴퓨팅사고력 |
- |
- |
- |
2 |
3 |
5 |
10 |
|
인공지능 |
- |
- |
- |
- |
3 |
3 |
6 |
|
기타 |
|
|
|
|
1 |
- |
1 |
자료출처 |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자료 |
||||
---|---|---|---|---|---|
확보방법 |
- 연도별 온라인 코딩파티 프로그램 공모 선정 결과 |
||||
주석 |
- 2020년부터 공모를 통해 온라인 코딩파티 참여 프로그램을 공개 모집 후 선정 |
||||
해설 |
- 해당 사항 없음 |
번 호 |
6-5 |
정책사업 |
SW인재저변확충 |
세부 사업 |
SW영재학급 |
---|
■ 사업 예산
(단위: 백만 원)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360 |
360 |
300 |
330 |
330 |
330 |
■ SW영재학급 학급 및 수혜자 수
(단위: 개, 명)
구분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계 |
|
---|---|---|---|---|---|---|---|---|
학급 수 |
초등 |
18 |
20 |
18 |
19 |
19 |
19 |
113 |
중 등 |
12 |
10 |
12 |
11 |
10 |
10 |
65 |
|
무학년제 |
- |
- |
- |
- |
1 |
1 |
2 |
|
계 |
30 |
30 |
30 |
30 |
30 |
30 |
180 |
|
수혜자 수 |
542 |
548 |
530 |
504 |
445 |
437 |
3,006 |
자료출처 |
- SW영재학급 지원 사업 최종보고서 - 소프트웨어(SW)・인공지능(AI) 교육 연차보고서 |
||||
---|---|---|---|---|---|
확보방법 |
- SW영재학급 결과보고서 내 데이터 추출 |
||||
주석 |
- 2015~2016년 SW중심사회를 위한 인재 양성 추진계획 수립 - 2018년 소프트웨어 영재학급 혁신방안 마련 - 2019년 SW영재학급 운영을 통해 2019 인텔 국제과학기술 경진대회 특별상 수상 (선린인터넷고 / 뇌파를 이용한 인공지능 음악 추천) - 2020년 정보(SW・AI) 영재교육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추진 - 2021년 SW영재학급 운영 내실화를 위한 초중등 SW영재 내용체계 개발 연구 추진 |
||||
해설 |
- 해당 사항 없음 |
■ SW영재교육 산출물 경진대회 참가팀 수
(단위: 개)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9 |
30 |
40 |
55 |
67 |
69 |
자료출처 |
- SW영재학급 지원 사업 최종보고서 |
||||
---|---|---|---|---|---|
확보방법 |
- SW영재학급 결과보고서 내 데이터 추출 |
||||
주석 |
- 해당 사항 없음 |
||||
해설 |
- 해당 사항 없음 |
■ SW영재학급 운영 교원의 만족도
(단위: 점)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
92.8 |
87.0 |
89.8 |
90.0 |
94.4 |
자료출처 |
- 소프트웨어(SW)・인공지능(AI) 교육 연차보고서 |
||||
---|---|---|---|---|---|
확보방법 |
- SW영재학급 학생・교사 대상 운영만족도 조사 |
||||
주석 |
- 해당 사항 없음 |
||||
해설 |
- SW영재학급 교사 대상 운영 만족도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
■ SW영재학급 학생의 SW분야 진로의향
(단위: 점)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
82.2 |
71.0 |
76.1 |
77.0 |
73.6 |
자료출처 |
- 소프트웨어(SW)・인공지능(AI) 교육 연차보고서 |
||||
---|---|---|---|---|---|
확보방법 |
- SW영재학급 대상 운영만족도 조사 |
||||
주석 |
- 해당 사항 없음 |
||||
해설 |
- 운영교육 만족도 및 SW분야 진로의향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
번 호 |
6-6 |
정책사업 |
SW인재저변확충 |
세부 사업 |
인공지능(SW)교육 선도학교 |
---|
■ 사업 예산
(단위: 백만 원)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
- |
- |
- |
- |
- |
14,200 |
■ AI교육 선도학교 수, 수혜 학생 수, 효과성 지수
(단위: 개, 명)
구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선도학교 수 |
- |
- |
- |
- |
- |
- |
566 |
수혜 학생 수 |
- |
- |
- |
- |
- |
- |
137,921 |
효과성 지수 |
- |
- |
- |
- |
- |
- |
80.12 |
자료출처 |
- 2021년 소프트웨어(SW)・인공지능(AI)교육 연차보고서(SW・AI인재양성팀) |
||||
---|---|---|---|---|---|
확보방법 |
- 2021년 인공지능(AI)교육 선도학교 운영 효과성 조사 ∙ 설문기간: 2021.11.18.(목) ~ 11.29.(월) ∙ 설문대상: 2021년 AI교육 선도학교 수혜학생, 전담교사, 학부모 ∙ 설문방법: 온라인 설문 |
||||
주석 |
- 2020년을 기점으로 SW교육 선도학교 사업 종료되었으며, 2021년부터 AI교육 선도학교 신규 지원(교육부・과기정통부 공동 지원) - 수혜학생의 경우 인공지능(AI)교육 선도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중 성별 구분 없이 1개 학급 이상 참여 권장 |
||||
해설 |
- AI교육 선도학교는 ‘20년 대비 129% 증가((’20) 247교(AI교육 시범운영)→(‘21)AI교육 선도학교) |
■ 지역별 인공지능(AI)교육 선도학교 수
(단위: 개)
구분 |
2020 |
2021 |
||||||||
---|---|---|---|---|---|---|---|---|---|---|
초 |
중 |
고 |
특수 |
계 |
초 |
중 |
고 |
특수 |
계 |
|
서울 |
8 |
4 |
6 |
- |
18 |
21 |
14 |
14 |
1 |
50 |
부산 |
5 |
3 |
2 |
- |
10 |
16 |
2 |
5 |
2 |
25 |
대구 |
10 |
6 |
3 |
- |
19 |
17 |
5 |
3 |
1 |
26 |
인천 |
7 |
5 |
1 |
- |
13 |
12 |
5 |
4 |
- |
21 |
광주 |
2 |
2 |
2 |
- |
6 |
8 |
2 |
6 |
- |
16 |
대전 |
4 |
2 |
2 |
- |
8 |
8 |
4 |
2 |
- |
14 |
울산 |
3 |
- |
2 |
- |
5 |
4 |
3 |
3 |
- |
10 |
세종 |
1 |
- |
- |
- |
1 |
2 |
1 |
- |
- |
3 |
경기 |
48 |
5 |
13 |
- |
66 |
45 |
28 |
17 |
- |
90 |
강원 |
4 |
2 |
2 |
- |
8 |
16 |
5 |
5 |
1 |
27 |
충북 |
4 |
2 |
1 |
- |
7 |
13 |
6 |
5 |
2 |
26 |
충남 |
19 |
1 |
3 |
- |
23 |
26 |
6 |
4 |
- |
36 |
전북 |
3 |
5 |
- |
- |
8 |
43 |
17 |
4 |
- |
64 |
전남 |
10 |
2 |
3 |
1 |
16 |
39 |
18 |
8 |
2 |
67 |
경북 |
4 |
4 |
7 |
- |
15 |
17 |
11 |
10 |
2 |
40 |
경남 |
13 |
3 |
3 |
1 |
20 |
22 |
11 |
9 |
- |
42 |
제주 |
2 |
1 |
1 |
- |
4 |
5 |
1 |
3 |
- |
9 |
계 |
147 |
47 |
51 |
2 |
247 |
314 |
139 |
102 |
11 |
566 |
자료출처 |
- 2021년 소프트웨어(SW)・인공지능(AI)교육 연차보고서(SW・AI인재양성팀 발간예정) |
||||
---|---|---|---|---|---|
확보방법 |
-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공모를 통한 AI교육 선도학교 선정결과 제출 |
||||
주석 |
- 2020년의 경우 SW교육 선도학교 사업의 일환으로 AI교육 시범운영교를 선정・운영하였으며, 2021년부터 신규 사업으로 지원 |
||||
해설 |
- AI교육 선도학교는 시・도 규모에 따라 배정되며, 17개 시・도교육청 수요에 따라 추가 지정 가능 |
■ 지역별 AI교육 선도학교 인적 인프라 실태Ⅰ
(단위: 명)
구분 |
2021 |
|||||
---|---|---|---|---|---|---|
초등 ‘실과(SW교육)’ 전담교사 배치 비율 |
정규 ‘정보’ 교사 배치 현황 |
|||||
배치 |
미배치 |
중학교 |
평균 교사 수 |
고등학교 |
평균 교사 수 |
|
서울 |
30.0 |
70.0 |
15 |
1.5 |
17 |
1.55 |
부산 |
18.2 |
81.8 |
1 |
0.5 |
4 |
1 |
대구 |
56.3 |
43.8 |
6 |
1.2 |
4 |
1.33 |
인천 |
16.7 |
83.3 |
4 |
1 |
3 |
1 |
광주 |
25.0 |
75.0 |
4 |
2 |
2 |
0.67 |
대전 |
14.3 |
85.7 |
1 |
0.33 |
2 |
1 |
울산 |
0.0 |
100.0 |
5 |
1.67 |
3 |
1.5 |
세종 |
50.0 |
50.0 |
- |
- |
- |
- |
경기 |
5.3 |
94.7 |
25 |
1.09 |
22 |
1.57 |
강원 |
7.7 |
92.3 |
5 |
1.25 |
4 |
1 |
충북 |
12.5 |
87.5 |
5 |
1 |
5 |
1.25 |
충남 |
21.1 |
78.9 |
5 |
0.83 |
5 |
1.25 |
전북 |
23.5 |
76.5 |
26 |
1.73 |
5 |
1.25 |
전남 |
9.1 |
90.9 |
11 |
0.69 |
5 |
1.25 |
경북 |
33.3 |
66.7 |
6 |
0.86 |
12 |
1.33 |
경남 |
10.0 |
90.0 |
12 |
1.2 |
10 |
1.25 |
제주 |
25.0 |
75.0 |
4 |
4 |
1 |
1 |
계 |
|
|
135 |
1.16 |
104 |
1.3 |
자료출처 |
- 2021년 인공지능(AI)교육 선도학교 운영 실태 조사(SW・AI인재양성팀) |
||||
---|---|---|---|---|---|
확보방법 |
- 2021년 인공지능(AI)교육 선도학교 운영 실태 설문 조사 ∙ 설문기간: 2021.9.13.(월) ~ 10.8.(금) ∙ 설문대상: 2021년 AI교육 선도학교 전담교사 ∙ 설문방법: 온라인 설문 |
||||
주석 |
- 초등 ‘실과’ 전담교사는 초등학교 내 필수화된 SW교육 전담을 위해 배치된 교사 현황 집계 - 중등 정규 ‘정보’ 교사 배치현황의 경우 기간제 교사 제외 |
||||
해설 |
- AI교육 선도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정규 ‘정보’ 교사 평균 수는 일반학교 현황을 포함하지 않음 |
번 호 |
6-7 |
정책사업 |
SW인재저변확충 |
세부사업 |
기타 |
---|
■ SW 교과서, 교재, 간행물 발간 현황
구분 |
도서명 |
발간 연도 |
비 고 |
---|---|---|---|
교 재 |
초중등 SW교육 교재 및 지도서 |
2014 |
4종 8책 |
고교 SW교육 교재 및 지도서 |
2015 |
1종 2책 |
|
초등 모듈형 SW교육 교재 |
2016 |
10종 11책 |
|
교과서 |
(중)문제해결과 프로그래밍 |
2018 |
인정교과서 1종 |
(고)인공지능과 미래사회, (고)사물인터넷, (고)정보과제연구 |
2020 |
인정교과서 3종 |
|
간행물 |
(고)데이터과학과 머신러닝, (고)수리와 인공지능, (중)인공지능과 미래사회 |
2021 |
인정교과서 3종 |
소프트웨어교육 학교에가다 |
2017 |
우수사례집 |
|
SW교육 연차보고서 |
매년 |
|
자료출처 |
- SW중심사회 포털 사이트 (www.software.kr) |
||||
---|---|---|---|---|---|
확보방법 |
- 교과서 검인정협회를 통해 구매 가능, 연간 교과서 전시기간 내 전시본 배포 (예산에 따라 변동) |
||||
주석 |
- (고) 고등학교용, (중) 중학교용 |
||||
해설 |
- 해당사항 없음 |
번 호 |
6-8 |
정책사업 |
교원양성기관교육역량강화 |
세부사업 |
교원양성대학 인공지능 교육 강화 지원 사업 |
---|
■ 사업 예산
(단위: 백만 원)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
|
- |
- |
- |
- |
1,500 |
■ 예비교원 AI(융합)교육 역량 강화 지원 효과성
(단위: 점)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
|
- |
- |
- |
- |
4.3 |
자료출처 |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자료 |
||||
---|---|---|---|---|---|
확보방법 |
- 사업 참여대학 재학 중인 예비교원의 AI(융합)교육 만족도 및 교수 효능감 관련 설문조사 |
||||
주석 |
- 학부생 기초 AI교육 필수 이수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함 |
||||
해설 |
- 5점 만점 기준 결과치이며, 사업 참여대학의 모든 예비교원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진 것은 아니므로 해석에 유의하여야 함 |
■ 학부 기초 AI교육 필수 이수과목 수
(단위: 학점)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
|
- |
- |
- |
- |
5,00 |
자료출처 |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자료 |
||||
---|---|---|---|---|---|
확보방법 |
- 사업 참여대학(6개교)의 연도별 교육과정 편제표 |
||||
주석 |
- 사업 참여대학(6개교)의 전체 재학생 SW교육 필수 이수학점의 평균 - 당해 연도에 개설한 과목만 반영 |
||||
해설 |
- 해당사항 없음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이전글
- 종합ㆍ원격연수원
- 다음글
- 창의ㆍ융합(STEAM)교육사업
자료제공 정책기획실 : 02-559-3899
최종 수정일 : 2023-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