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과학창의재단

통합검색

SW·AI문화확산

검색

전체 : 5 페이지 : 1 / 1

  • NO. 1
    • 디지털인재양성
    • SW·AI문화확산
    SW교육 페스티벌 개최
    사업개요
    • 행사명

      2023 SW교육페스티벌

    • 추진목적

      SW·AI교육에 대한 이해 증진과 사회 전반 SW·AI교육 활성화 붐 조성을 위한 대규모 체험행사 개최

    • 참가대상

      학생, 학부모, 연구자 등 SW・AI교육에 관심 있는 전 국민 누구나

    • 주최/주관

      과기정통부·교육부 / 한국과학창의재단

    • 행사기간

      2023.11월 (예정)

    2022년 행사 성과
    • 참여자 및 참여기관 확대

      기업·선도학교 외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참여기관을 확대하고, 온·오프라인을 병행한 행사 운영으로 101,043명 참여

      * (`21년) 133개 기관, 26만명(20일간) 참여 ⇒ (`22년) 160개 기관 10만명(7일간)참여

    • 콘텐츠 확대

      메타버스 행사장을 활용한 전시·이벤트와 온라인 체험 프로그램·영상 콘텐츠, 오프라인 공간을 활용한 체험 프로그램 등 콘텐츠 확대 제공

      * (`21년) 279종 콘텐츠 제공 ⇒ (`22년) 364종 콘텐츠 제공

    • 행사내용
      행사내용 구분, 주요내용 정보를 제공하는 표
      구 분 주요 내용
      체험 프로그램

      온·오프라인 행사장을 활용하여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SW·AI교육 체험 프로그램 제공

      * 랜선클래스, SW·AI라이브클래스, 에듀테크체험클래스, 개발자로부터 온 초대장, SW·AI 진로멘토링, 온라인 코딩파티

      강연 프로그램

      전문가 대중강연을 통해 SW· AI와 미래의 삶의 관계성에 대한 통찰의 기회를 제공하고, SW·AI교육 관련 다양한 주체의 의견을 듣는 포럼 운영

      * 글로벌 SW교육 심포지움, 미래플러스+, SW북토크, SW·AI 수업콘서트, SW를 통한 착한상상, SW교육 in 메타버스, AI 교육 포럼

      전시 프로그램

      디지털 인재양성 정책, 학교 안팎의 SW·AI교육현황 및 운영사례 및 웹툰, 영상 등을 통해 국민들의 정책 궁금증을 해소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전시관 운영

      * SW교육정보관, SW교육자료실, SW교육정책관

      참여형 이벤트

      메타버스를 활용한 참여형 이벤트 프로그램 운영

      * 메타버스 방탈출게임, 보물찾기 게임, OX 퀴즈 등

    2023년 중점 추진방향
    • 콘텐츠 강화

      전 국민의 SW‧AI교육 인식 제고 및 접근성 확대를 위해 민·관 협력을 강화하여 다양한 기관의 우수 콘텐츠 발굴·전시

    • 만족도 제고

      프로그램별 운영(기관)·참여(수혜자) 민원 지원 강화 및 플랫폼 개선 등 운영 만족도 확보

    • 홍보 강화

      사전 홍보 기간 확보 및 다양하고 효과적인 홍보를 통한 행사 인지도·참여도 제고

  • NO. 2
    • 디지털인재양성
    • SW·AI문화확산
    온라인 코딩파티
    ① 온라인 코딩파티
    사업개요
    • 추진목적

      국가·사회적 요구 증대 및 학교 자율시간 도입 등의 환경 변화에 따라, SW·AI 관련 다양한 과목 개설을 통한 정보과 교육시수 확대 효과 기대 및 학생들의 학습 선택권 확대

    • 운영기간

      ’18년 ~ 현재

    사업소개
    • 행사명

      2023 온라인 코딩파티

    • 추진목적

      전국민 대상 양질의 SW·AI교육 콘텐츠를 제공하여 SW·AI교육에 대한 인식 제고 및 SW·AI 체험 계기 마련

    • 참가대상

      초·중·고등학생, 대학생 등 SW교육에 관심 있는 누구나

    • 주최/주관

      과기정통부·교육부 / 한국과학창의재단

    • 행사기간

      (시즌1) 2023.6.~7.(예정) / (시즌2) 2023.10.~11.(예정)

    • 참여방법

      SW중심사회포털(www.software.kr) 내 온라인코딩파티 접속

    2022년 행사 성과
    • 행사내용

      다양한 코딩미션을 통해 게임처럼 쉽고 재미있게 소프트웨어(SW)와 인공지능(AI)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체험하고,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라인 체험행사

    • 참여기관/기업

      총 9개 기관/기업 (시즌1, 2 총합)

      * 한국교육방송공사(EBS), ㈜로지브라더스, ㈜레드브릭, ㈜엘리스그룹, 코드닷오알지(Code.org), 하이코두, ㈜키워드랩, ㈜마로마브, ㈜브랜치앤바운드

    • 주요성과

      2022년 시즌1, 2 총 2,407,277명 참여

    • 프로그램

      총 4개 부문 / 시즌1 22개, 시즌2 25개 프로그램으로 구성

    2023년 중점 추진방향
    • 학습자 친화형 콘텐츠 구성

      학생 스스로 쉽고 재밌게 SW·AI를 학습할 수 있도록 콘텐츠 접근 용이성, 교육적 효과 등 강화

    • 코딩파티 대중화

      광고 등 홍보를 확대하여 일반인 대상 코딩파티 인지도 상승 유도

  • NO. 3
    • 디지털인재양성
    • SW·AI문화확산
    SW중심사회 포털 운영
    사업개요
    • 추진목적

      일반 국민 대상 SW·AI 교육, 산업, 정책, 문화 등에 대해 친숙하고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채널 제공

    • 참가대상

      학생, 학부모, 연구자 등 SW・AI교육에 관심 있는 전 국민 누구나

    • 운영기간

      상시

    사업소개
    • 일반 국민이 SW·AI 교육, 산업, 정책, 문화 등에 대해 친숙하고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기부의 대표 SW·AI 정책홍보 사이트인 ‘SW중심사회 포털’ 사이트 운영

    2023년 중점 추진방향
    • SW·AI 교육, 산업, 정책, 문화 등에 대해 국민들이 친숙하고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사이트 구성·운영

    • 웹툰, 칼럼, 영상, 카드뉴스 등 누구나 쉽고 친숙하게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양질의 SW‧AI분야 콘텐츠 제작·보급

    • 온라인 코딩파티(2회), SW주간, SW교육 페스티벌 등 과기부 및 유관기관의 주요 행사 온라인 홍보 지원

    패밀리 사이트

    SW중심사회(https://www.software.kr/)

  • NO. 4
    • 디지털인재양성
    • SW·AI문화확산
    공모전 및 포상
    ① 대한민국 정보교육상
    사업개요
    • 추진목적

      정보교육 발전에 기여한 교원을 발굴·포상하여 정보교사의 자긍심 고취, 정보교육 우수사례 확산을 통한 정보교육 내실화 및 필수화 안착 추구

    • 지원자격

      소속 학교장의 추천을 받은 초등학교 교원, 중·고등학교 정보교원으로 근무 중인 자

    • 시상규모

      10명 이내(학교급 및 지역별 안배 없음)

    • 시상내용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상

    • 심사내용

      정보교육 발전에 기여한 업적 및 활동 평가

      ※ 업적 및 활동 예시

      1) 정보수업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개선, 관련 교육활동 참여

      2) 정보 분야 관련 진로·진학 상담, 정보교과에 대한 정의적 성취를 위한 노력

      3) 연구 활동(공개수업, 연구회 등)을 통해 정보교육 현장 발전을 위한 노력

      4) 학교 내 또는 지역사회에서 정보교육의 성과 확산에 기여

    추진절차
    • 내용(주관) → 대상자 추천 및 서류제출(대상자·학교) → 추천서류 수합·제출(시도교육청) → 심사(심사위원회) → 공적 공개검증(심사위원회) → 수상자 발표(교육부·재단)

    ② SW·AI 수업 우수사례 공모전
    사업개요
    • 추진목적

      초·중등 교원의 SW·AI교육 학교 수업 우수사례 발굴 및 확산을 통한 학교현장 SW·AI교육 활성화

    • 사업대상

      전국 초·중·고등학교 교사(기간제 교사 포함)

    • 추진일정

      추후 업데이트 예정

    • 시상규모

      총 14점(최우수상 6점, 우수상 8점)

      ※ 재단 내·외부 사정에 의해 시상규모 변경될 수 있음

    ③ SW·AI 교육 수기 공모전
    사업개요
    • 추진목적

      SW·AI 교육을 통해 교사 또는 학생이 겪었던 긍정적 변화 사례를 공유하고 확산하기 위하여 수기공모전 개최

    • 사업대상

      전국 초·중·고등학교 교사 및 예비교원 또는 학생

    • 공모부문

      교사 및 예비교원 부문, 학생 부문 총 2개 부문

    • 추진일정

      추후 업데이트 예정

    • 공모주제

      SW·AI 교육을 통한 교사 및 학생의 긍정적 변화 사례

    • 시상규모

      총 22점(최우수상 10점, 우수상 12점)

  • NO. 5
    • 디지털인재양성
    • SW·AI문화확산
    SW·AI교육 캠프(디지털새싹) 운영
    사업개요
    • 사업명

      디지털새싹 캠프 운영 사업

      ※ 디지털 새(New)싹(Software·AI Camp)은 민·관·학이 협력하여 디지털 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간다는 의미

      < 디지털새싹 캠프 BI >

    • 추진목적

      정보교육 수업 시수가 확대되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시행(2025년) 이전에, 초·중·고교생이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갖고 기초적인 디지털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전국 단위에 양질의 소프트웨어·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제공

      ※ (추진배경) 국정과제81-100만 디지털 인재양성(’22.7월),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22.8월)

    • 사업대상

      전국 초·중·고교생 중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

    • 운영기간

      (겨울방학 중) ’22. 12월 ∼ ’23. 3월 / (학기 중) ’23. 4월 ∼ 6월

      ※ 이후 일정 미정

    사업소개
    • 민·관·학 협력체계 구축

      대학·민간·공공 등 양질의 소프트웨어·인공지능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역량있는 주체를 발굴하여 디지털 교육 생태계 구축

      민·관·학 협력체계 구축 구분,대학,기업,공공기관,합계 정보를 제공하는 표
      구분 대학 기업 공공기관 합계
      겨울방학 중 참여기관 수(개) 63 22 5 90
    • 디지털 새싹 캠프 구성·운영

      정규교과와 연계된 교육내용을 구성하여, 놀이·체험 활동 중심의 절차적 문제해결, 프로젝트 기반 공동학습 및 코딩 실습 등전국적으로 다양한 SW·AI교육 프로그램 운영 추진(겨율방학 중 캠프 프로그램 : 총 9.8천여개 운영)

      ▶ (방문형 캠프) 캠프 운영기관이 초·중·고 학교를 방문하여 해당 학교 학생 대상 추진하는 캠프

      ▶ (집합형 캠프) 특정장소(대학, 집합시설 등)에 다양한 학생들을 모집하여 추진하는 캠프

      <디지털새싹 캠프 추진 체계>

    • 운영 내실화 지원

      강사 통합 워크숍 및 주체 간 소통·교류 활성화를 통한 캠프 운영 주체의 역량향상(Skill-up) 지원, 캠프 운영 우수사례 발굴‧확산, 사업추진협의체 구축을 통해 사업관리의 투명성과 전문성 확보를 통한 캠프 사업 운영 내실화 지원

    • 성과 분석 및 환류

      방학 중 캠프 참가에 따른 학생들의 ‘SW·AI에 대한 관심과 흥미 향상’에 대한 성과분석 실시(설문조사 중) 및 발전방안 마련

    2023년 중점 추진방향
    • 학기 중 캠프 운영 확대

      캠프 사업은 ‘단기과정(8h 이상)’ 중심에서 ‘장기과정(24h 이상)’으로, ‘방학 중’에서 ‘학기 중’으로 캠프를 확대하여 전국적으로 연속성 있는 양질의 소프트웨어·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제공

    • 다양한 교육정책과 연계 추진

      방과 후 교육활동 내실화 및 정규 교육과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늘봄학교(돌봄+교육)’ 및 자유학기제, 특성화·마이스터고 등 다양한 교육정책과 자원 연계로 공교육 내에서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저변을 확대

    • 캠프 운영 내실화

      캠프 특성 및 운영기관 여건, 참가대상, 운영방식 등에 따른 현장 맞춤형 전문 컨설팅 제공을 통해 캠프 내실화 지원

    • 국민 인식 제고 강화

      통합 브랜드와 콘텐츠를 활용한 미디어 마케팅 등 캠프사업 홍보 및 국민 인식 제고 활동 추진

    • 운영성과 창출·확산

      캠프 운영실적 통계, 각종 설문 결과를 기반으로 우수 사례 발굴, 사업 개선‧발전 방안 도출

    • 주요일정(안)
      주요일정(안) 구분, 일정 정보를 제공하는 표
      구분 일정
      공모 및 선정 ’23. 2월 ∼ 3월
      주관기관 착수워크숍 ’23. 4월
      캠프 운영 및 현장 모니터링 ’23. 4월 ∼ 6월
      성과공유회 및 최종평가 ’23. 7월
    패밀리 사이트

    디지털새싹 캠프 공식 페이지(https://newsa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