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안내
과학교육
-
NO. 1
- 과학·수학·융합교육
- 과학교육
지능형 과학실 구축 및 운영사업개요- 추진목적
디지털 기술 혁신에 대응하여 지능정보기술 활용 능력 및 협력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미래 지향적 과학교육 구현
- 사업대상
전국 초․중․고 118교 (신규 43교, 계속 75교)
- 운영기간
2023년 4월(예정)~12월
- 주요일정
공고․선정(1~3월) → 사전설명회(4월) → 협약(4월) → 구축․운영(4월~12월) → 성과공유회(12월) → 결과보고서 제출(~12.20)
사업소개- 첨단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과학 탐구실험 및 융‧복합적 탐구활동이 가능한 실험실 환경 조성 및 교수학습 모델 개발
※ 지능형 과학실 온라인 플랫폼(지능형 과학실 ON)과 연계(‘23.3. 개발완료 및 ‘23년도 상반기 시범운영 예정)
- 모델학교 운영을 통해 지역 여건에 따른 다양한 지능형 과학실을 구축하고 창의·융합형 교육과정 운영, 교수‧학습방법‧평가 개선
- 모델학교를 거점학교로 활용, 시도형 지능형 과학실 구축 사업과 연계하여 미래지향적 과학 교수학습 환경 확산 추진
- 지능형 과학실 모델학교 주요 역할
- 첨단과학기술 기반 미래지향적 수업 공간구축 및 ‘지능형 과학실 ON’ 연계 실험․탐구 활동이 가능한 첨단기자재 구비
- 교내․외 교사연구회를 통해 지능형 과학실 수업주제 공유․협의, 탐구․참여 중심 데이터 활용 수업 프로그램 개발․적용
- 지능형 과학실 운영 교원 간 네트워킹, 워크숍․성과공유회 참여, 컨설팅․공개 수업 운영 등 지역 거점학교로서 성과확산
- 지능형 과학실 ON 주요 내용
- 지능형 과학실과 연계하여 학생 중심의 실제적 과학탐구 활동을 지원하는 온라인 플랫폼
- 지능정보사회에 맞는 교수학습과 수업환경에 대한 요구를 토대로 통합적 교수학습평가 체계를 플랫폼에 반영하여 과학탐구 역량 함양과 탐구 경험의 확대 지원
- 센서·공공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데이터 과학탐구를 지원하고, 첨단과학기술을 활용한 교수학습 콘텐츠 및 디지털 학습도구 제공
2023년 중점 추진방향- 지능형 과학실 확대
시도 공동 운영 체제 수립을 통해 학교 지역 특색을 반영한 지능형 과학실 확대
※ 지능형 과학실 모델학교 118교 운영(1차년도 43개교(신규), 2차년도 50개교, 3차년도 25개교)
- 지능형 과학실 네트워킹 활성화
권역별 발전 협의체 구성을 통한 전국 지능형 과학실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지역·학교 특성에 맞는 현장 밀착지원 도모 및 지능형 과학실 ON을 활용한 소통·교류 활성화
- 지능형 과학실 교수학습 혁신 도모
지능형 과학실 ON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온·오프라인 연계 데이터 과학탐구 활성화
지능형 과학실과 지능형 과학실 온라인 플랫폼(지능형 과학실 ON) 개요지능형 과학실 운영 모델(안)
-
실제 데이터(real data)를 수집・축적하고, 이를 분석・탐구하는 활동
-
저작도구 및 시뮬레이션 SW를 활용한 과학탐구・실험 활동
-
국내외 전문가와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시공간 초월 과학탐구활동
-
빅데이터를 이용한 과학탐구활동, 학교 간 협력적 과학탐구/과학 기반 융합
지능형 과학실 ON 주요 메뉴 구성
- 탐구수업
교사-학생의 지속적인 상호작용 및 탐구수업 콘텐츠 활용 수업 재구성 지원
- 온라인 실험·탐구, 시뮬레이션, AR/VR 기기활용 수업 지원
- 데이터 활용·공유 활동 수업 지원
- IoT 센서데이터 및 공공데이터 기반 과학탐구 지원
- 공동탐구
학생 중심의 협력적 데이터 과학탐구 지원
- 교사커뮤니티
교사 커뮤니티 활동 지원 및 네트워트 활성화
- 학습자료실
각종 온·오프라인 연계 교수학습자료 탑재·관리
-
NO. 2
- 과학·수학·융합교육
- 과학교육
사다리프로젝트사업개요- 추진목적
모든 학생을 위한 과학교육 지원을 위한 ‘사다리프로젝트 운영’
- 사업대상
과학기술에 흥미가 있거나 이공계를 지원하는 초·중·고등학교 학생과 교사, 학교를 대상으로 사업 수행
- 운영기간
협약체결일~12월
- 주요일정
- (사제동행팀) (공모) 3~4월 (선정) 5월 (운영) 5~12월 (성과발굴 및 확산) 11월
- (과학점핑학교) (공모) 2월 (선정) 3월 (운영) 4월~‘24.1월
- (스타브릿지센터) (신규 센터 공모) 2~3월 (신규 센터 선정) 4월 (신규 센터 참여교사 공모) 5월 (운영) 협약체결일~12월
사업소개- 사제동행팀
이공계 진로를 희망하는 교육소외 학생과 지도교사가 사제동행팀을 구성하여 과학문화 체험 및 진로탐색 활동을 수행
- 과학점핑학교
재미있는 활동 중심 프로그램 및 맞춤형 학습지원 등을 통해 학생의 과학 기초 역량 신장 및 정의적 성취 함양
※ 전국 100개 학교 지원
- 스타브릿지센터
교사와 과학 기술전문가 간 협력체계를 마련하여 초·중등 과학교육에 첨단 과학기술 반영을 지원하고 교원의 전문성 신장
※ 전국 4개 센터 운영(예정)
<과학교육 회복 프로젝트(사다리프로젝트) 사업 구성>(교사단위)
사제동행팀교사-학생 사제동행팀을 구성하여 과학 기술 분야에 관심이 있는 교육소외 학생이 이공계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 제공
(학교단위)
과학점핑학교재미있는 활동 중심 프로그램 및 맞춤형 학습지원 등을 통해 과학 학습 곤란을 겪는 학생의 과학 기초역량 신장
(지역단위)
스타브릿지 센터초·중등 과학교육에 첨단과학 기술 지원 및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과학기술 전문기관 참여 지역 협력 체제마련
2023년 중점 추진방향- 사제동행팀
과학기술·문화 체험 및 진로탐색·연구활동 등 2개 트랙(꿈 트랙/재능 트랙) 운영을 통한 초·중등 학생 대상 과학 진로탐색 및 체험활동 운영
- 과학점핑학교
과학 학습곤란 진단, 맞춤형 학습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과학점핑캠프 운영 등 다각적인 학교 내 지원
- 스타브릿지센터
과학기술전문기관에서 교사 등이 연구에 참여하여, 교육자료 개발을 통한 학교 현장 확산
- 스타브릿지센터(안)
-
NO. 3
- 과학·수학·융합교육
- 과학교육
과학창의대회사업개요- 추진목적
학생 및 과학교원이 과학창의력 및 과학문제해결력을 발현할 기회를 제공하여 탐구・참여 중심의 과학교육 활성화 지원
- 사업대상
학생, 학부모, 교사 및 과학 관련 전문가 등 모든 국민
- 운영기간
2023.3.1.~2024.2.29.
- 주요일정
연중(대회별 상이하므로,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홈페이지 참조)
사업소개- 과학 인재 양성
학생과학탐구올림픽 개최를 통해 학생의 과학 흥미를 높이고, 과학적 소양을 함양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
- 학생과학탐구올림픽 시‧도 예선 지원 및 전국대회 개최
- 교사 역량 제고
과학교사의 연구활동 지원을 통해 교사의 교과 전문성 및 교수역량을 강화하고 과학교육 우수사례 발굴‧확산
- 교사 개인 연구, 교사 동아리 연구 활동 지원 및 발표대회 개최
- 학술행사 개최
전국단위 학술행사 개최하여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미래형 과학교육 발전방안 모색 및 국내외 과학교육 네트워크 강화
- 전국과학교육담당자대회, 글로벌 과학교육 포럼, 학생해외과학탐방 등 개최
- 과학행사 개최
유‧초‧중‧고 학생, 교사, 연구자, 일반 대중 등 모든 이가 과학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과학문화 체험의 장 마련
- 과학 싹 큰 잔치, 특수학교 과학 싹 잔치 등 과학체험 프로그램 운영
2023년 중점 추진방향- 학생대회 개선
초‧중‧고 통합‧운영되었던 학생대회를 학교급별로 세분화하고, 별도 계획을 수립하여 대회의 질 개선
- 교사대회 개선
연수 기회 제공, 교사공동체와의 연계 등 교사대회 참여 인센티브 강화
- 행사 확대 개최
감염병 사태로 인해, 온라인 전환되거나 축소된 대회 및 행사의 운영 안정화를 통한 과학교육 네트워크 강화
패밀리 사이트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홈페이지(kofses.or.kr)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