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과학창의재단

통합검색

이슈페이퍼/FOCUS


전체 : 54 페이지 : 1/ 6

검색
ISSUE PAPER
[KOFAC ISSUE PAPER 2024-3]  챗GPT로 동영상까지 생성한다, AI'소라'(Sora) 주목 산업계는 물론 교육계에도 혁신적 영향 ■ 작성배경  - 챗GPT 제작사인 오픈AI의 CTO(최고기술책임자) ‘미라 무라티’(Mira Murati)가 2024년 3월 13일,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텍스트 프롬프트를 동영상으로 구현하는 프로그램인 ‘소라’(Sora) 모델을 2024년 이내 일반인들이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혀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구체적인 시기를 언급한 것은 아니지만, 월스트리트저널은 2024년 하반기에 소라가 공식 출시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 텍스트 명령어로 동영상 생성 오픈AI가 만든 소라 모델은 사용자가 텍스트 프롬프트(명령어)를 입력하면 이 내용에 부합한 동영상을 만들어 제공하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이다.  오픈AI는 소라 모델에 대해 “언어에 대한 이해도가 뛰어나 프롬프트를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고, 생생한 감정까지 표현하는 매력적인 캐릭터를 동영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고 설명하면서, “다양한 캐릭터, 특정 유형의 동작, 피사체와 배경의 정확한 세부 정보 등 복잡한 장면이 포함된 최대 1분 분량의 동영상을 빠르게 제작할 수 있다”고 홈페이지를 통해 밝힌 바 있다. 소라 모델은 2024년 2월 처음 발표된 이후 시각 예술가, 디자이너, 영화 제작자 등 제한된 일부 창작자들에게만 액세스 권한이 부여되어 있고, 개발자들은 이들의 피드백을 받아 안전성 문제 등 프로그램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 작성자 : 장미경 (한국과학창의재단 정책기획실 선임연구원) ○ 이북보기 <KOFAC ISSUE PAPER>는 과학기술문화, 과학융합인재, 과학·수학·정보 교육에 관한 주요 현안이슈를 심층 분석하고 정책제언을 함으로써, 미래 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정책 수립 시 활용하고자 발행하고 있습니다.
2024-03-26
ISSUE PAPER
[KOFAC ISSUE PAPER 2024-2]  국내외 과학 태도 조사연구의 최신 동향과 시사점 ■ 배경 및 목적  ▪ 과학태도 조사연구의 연원  - 1957년 소년 스푸트니크(Sputnik)호 발사 성공으로 미국은 우주개발에 뒤처질 수 있다는 위기 확산  - 미국 국립과학작가협회는 미국인의 과학에 대한 인식과 과학 소양을 측정하고자 대규모 과학 태도 조사연구 실시(Withey,1959)    * 조사결과를 토대로 미국인 과학 소양을 높이기 위해 향후 20년간 과학교육 강화 정책 추진  - 정례화된 과학태도 조사연구는 미국 국립과학재단에서 1972년부터 격년으로 발간한 Science Indicators(Science Indicators)가 대표적임.    * 이 보고서는 대중의 과학태도 설문결과뿐만 아니라, 국가 경쟁력을 파악할 수 있는 국내외 다양한 과학기술지표를 수록하고 있음. 1985년부터 보고서명이 Science & Engineering Indicators로 변경됨    * 이 보고서의 과학태도관련 부문에는 국립과학재단 자체 조사뿐만 아니라 NORC, Pew Research Center 등 타 통계기관의 데이터와 기존 학술연구 데이터를 함께 분석한 결과를 수록하고 있음    * 2012 보고서부터 NSF에서 분리 독립한 NCSES(미연방 통계기관 13곳 중 하나)에서 발간함  - 유럽연합은 EuroBarometerSurvey(1973~)를 통해 유럽 여러 나라 국민의 과학 지식과 태도를 조사  - 영국은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왕립학회, 1985) 보고서를 통해, 기존 계몽주의 관점에서 벗어나 과학태도 형성에서 대중의 능동적 역할에 가장 먼저 관심을 보임    *2000년부터는 무역에너지혁신전략부(BEIS)에서 정책적 필요성에 의거, 대중의 과학태도(PAS) 조사연구를 4~5년 간격으로 실시함  - 한국은 미국 과학태도 조사연구를 벤치마킹해, 과학기술 국민이해(인식)도 조사(2000~2022)를 격년으로 실시함 2022년에 13차 조사연구 보고서를 발표함 ○ 작성자 : 허경호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문화협력팀 책임연구원) ○ 이북보기 <KOFAC ISSUE PAPER>는 과학기술문화, 과학융합인재, 과학·수학·정보 교육에 관한 주요 현안이슈를 심층 분석하고 정책제언을 함으로써, 미래 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정책 수립 시 활용하고자 발행하고 있습니다.
2024-03-04
ISSUE PAPER
[KOFAC ISSUE PAPER 2024-1]  유관 법제도 분석에 따른 과학기술문화진흥법의 입법 필요성 및 방향 ■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유관 법체계 분석   3. 타 부처 유관 법체계 분석   4. 과학기술문화 정책 분석   5. 과학기술문화진흥법 입법 필요성 및 방향 ○ 작성자 : 박문수(단국대학교 교수) ○ 이북보기 <KOFAC ISSUE PAPER>는 과학기술문화, 과학융합인재, 과학·수학·정보 교육에 관한 주요 현안이슈를 심층 분석하고 정책제언을 함으로써, 미래 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정책 수립 시 활용하고자 발행하고 있습니다.
2024-03-04
FOCUS
[KOFAC FOCUS] 글로벌 시대를 주도한 SW·AI 핵심인재양성을 위한 정책 방향과 향후 과제 윤일규 선임연구원(한국과학창의재단 SWAI인재양성팀) ■ 서론 소프트웨어는 모든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고 있으며, 경제·사회 전반에 그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글로벌시대를 주도할 SW·AI 핵심 인재 확보는 미래 국가경쟁력을 좌우하는 문제라 볼 수 있다. 매년 세계 인공지능(이하, AI) 분야의 투자, 혁신, 실행 수준을 기반으로 글로벌 AI 지수를 발표하는 영국 데이터 분석 기관인 토터스 미디어에 따르면 대한민국은 2021년 종합 5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AI 실행 지표 중 AI규모 및 안정성, 기초전력, 인터넷 접속, 슈퍼컴퓨팅 역량 등 인프라 역량은 높은 수준이나, 규제 등 운영 환경과 AI 분야 인재는 현저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는 SW·AI 분야 선도국에 비해 고급 역량을 보유한 SW·AI 핵심인재가 현저히 부족한 상황으로 이로 인해 글로벌 경쟁에서 뒤쳐질 수 있다는 우려도 팽배하다.  이러한 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어린 시절부터 SW·AI 분야에 관심과 재능을 보유한 학생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 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SW·AI 분야 핵심인재 양성을 위한 대표 사업인 SW영재교육은 영재교육진흥법과 시행령이 제정된 이후 “정보과학”이라는 명칭으로 과학영재교육원을 통해 2002년부터 교육이 시작되었다. 2016년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으로 SW영재학급 30개가 전국에 설치되었고, 주로 SW·AI 체험·활용 중심의 기초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외에도, 영재교육원, 영재학교 등을 통해 SW·AI 분야 핵심인재양성을 위한 다양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SW영재교육이 과학영재교육의 일부로 운영되고 있어, SW·AI 분야에 특화된 전 주기별 영재 양성 체계와 프로그램은 부족한 실정이다.  SW·AI가 주도하는 글로벌 시대적 변화에 따라 국가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2020년 6월에 「소프트웨어 진흥법」이 전면 개정되었다. 소프트웨어 진흥법 제 34조는 SW 영재를 조기에 발굴하고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SW영재의 발굴 및 육성 방안을 세우고 필요한 조치를 마련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교육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도의 다양한 정책 지원 방안이 마련되고 있다.  SW, 그리고 AI의 경제·사회적 파급력은 상상 그 이상이며, 지속가능한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더 미룰 수 없는 시급한 상황으로 볼 수 있다. 물론, SW·AI 핵심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은 단순히 개발 역량이 뛰어난 우수 개발자 양성과는 목적과 방향성이 다를 수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는 생성형 AI 등 AI 기반의 프로그래밍 지원 도구의 확산은 기초 개발자의 역할은 축소되게 될 것이며, SW·AI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하다 하더라도 SW를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는 환경이 도래하고 있다. 그러므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인재 양성 교육이 기계적인 프로그래밍 기술을 가르치는 것보다 높은 가치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즉, SW·AI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세상에 적응하고 더 나아가 주도하기 위해서는 창의·융합적인 사고는 물론이고 동로, AI 등과 협업하는 인재 양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고에서는 국내외 SW·AI 분야 핵심 인재 양성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글로벌 시대를 주도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SW·AI 핵심인재 양성 방향에 대해 다각도로 그 실현 방안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한다. ○ 이북보기 <KOFAC FOCUS>는 한국과학창의재단 사업에 특별한 포커스를 두고 관계된 국내외 사례를 조사하여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2024-01-24
FOCUS
[KOFAC FOCUS] 융합교육(STEAM)을 기반으로 한 학교급별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수업 적용 사례 전훈 연구원(한국과학창의재단 수학융합교육팀) ■ 작성배경 및 목적 -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은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를 이끌고 있으며,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체감할 수 있는 AI 대중화 시대란 흐름에 따라 정부는 「전국민의 AI 일상화 실행계획(안)」을 수립하였다.  - AI 대중화 시대, 이러한 변화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능동적이고, 유연한 사고, 상호 이질적인  객체와 특성 등을 연결할 수 있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전과 다른 강조점이 있다면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와 상호 소통, 배려와 나눔, 감성, 공감 그리고 나아가 공동체 발전에 기여 하는 인재 양성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 이를 위한 해결 방안으로 학문 간, 교과 간의 경계를 허물어 학생의 폭넓은 이해력과 사고력을 갖출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학습자의 행동 선택, 성취, 노력 등이 반영된 학습적 요소와 비학습적 요소를    포함하는 통합적 개념의 교육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 이에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이 모든 가치와 특성을 반영한 적절한 교육으로 융합교육(STEAM)과 지속  가능발전교육(ESD)을 제안하고 두 교육의 결합된 사례를 소개한다.  - 본 고는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인재 양성을 위한 대안으로 융합교육(STEAM)과 지속가능발전 교육   (ESD) 대략적 흐름을 탐색하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 통합적 접근 방식으로 두 영역을 융합한 수업 활동 사례의 특장점을 안내하고자 한다. ■ 주요내용 - (융합교육(STEAM)) 융합교육은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분야에 예술(Arts)을 통합한 개념으로 2009 개정교육과정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활동으로 진행되고 있다.  - (지속가능발전교육) 지속가능발전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교육 (Education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을 시작하였고, 목표 실현을 위한 지속가능발전 교육(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을 실행하였다. * DESD(2005-2014), GAP(2015-2019), ESD for 2030 발표에 따른 목표 및 세부전략 제시 ■ 결론 - 융합교육(STEAM)과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은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인재 양성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으며, 학교 현장에서 통합적 접근을 통한 수업 사례를 활용한다면 창의적이고 유연한사고 능력을 기를 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가치와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 이북보기 <KOFAC FOCUS>는 한국과학창의재단 사업에 특별한 포커스를 두고 관계된 국내외 사례를 조사하여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2024-01-24
FOCUS
[KOFAC FOCUS] 인프라를 통해 본 과학문화 소통활동 현황 조사  - 과학문화 전문 시설 관점에서 과학문화 소통활동을 중심으로 김도희 · 조재원 · 조혜준 연구원(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문화산업팀) ■ 요약 ◎ 작성배경 - 국내 과학기술 국민 인식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오프라인 공간에서의 체험·경험을 통한 과학기술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됨 - 이에, 국내외의 과학문화 소통 프로그램들을 유형에 따라 비교·분석하고 향후 종합적 과학문화 체험의 장으로서의 과학문화 테마파크의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 주요내용 - 과학관 전시, 천문대 관측 등 전통적인 방식의 프로그램을 제외하고, 이른바 '즐길 수 있는 과학'을 표방하는 과학소통 프로그램들을 선별하여 살펴보고자 함 - 국내외의 과학문화 소통 프로그램은 아래와 같이 3가지로 나누어 분석이 가능함. 이를 통해 향후 종합적인 과학문화 기관 인프라들의 확장 가능성을 가늠하고, 과학문화 시설과 주변의 인프라와의 유기적인 결합 방안 등을 고찰 1) 인프라 활용형 · 과학관에 상시 운영하는 전시교육 등을 제외하고, 국내사례와 비교할 수 있는 대표적인 과학소통 사례로 런던과학관의 레이츠, 국립과천과학관의 달밤과학파티를 들 수 있음 · 과학관의 인프라를 활용한 성인들이 즐길 수 있는 과학문화 프로그램에 대해 살펴보고자 함 2) 랜드마크형 · 글로벌 도시형 과학축제들은 한 지역에서 대규모로 진행되며, 개최지역이 과학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함.  · 영국, 독일, 일본 등 도시형 과학축제 및 행사의를 통해 과학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점에 대해 고찰 3) 과학테마파크형 · 과학을 주제로 한 휴양(또는 놀이)시설과 결합하여 운영되고 있는 과학문화 인프라 형태라고 할 수 있음. 과학문화 엔터테인먼트로 확장 가능성에 대해 고찰 ◎ 조사결과 및 제언 - 과학문화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는 인프라들은 생각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국민(시민)들에게 제공되고 있음. 다만 과학문화가 시민들의 실생활에 진정으로 스며들기 위해서는 주변에 어디서나 과학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인프라와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성·편의성 부분의 개선이 필요함 ○ 이북보기 <KOFAC FOCUS>는 한국과학창의재단 사업에 특별한 포커스를 두고 관계된 국내외 사례를 조사하여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2024-01-24
포커스 2호 표지 이미지
FOCUS
[KOFAC FOCUS] 예비교원의 디지털 기반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미래교육센터 역할 재점검 및 개선방안 홍석호 연구원(한국과학창의재단 교육기부기획팀) 조유성 연구원(한국과학창의재단 디지털소양확산팀) 노재호 사무행정원(한국과학창의재단 미래교육지원TF팀) ■ 작성배경 ◎ 미래교육센터의 도입과 운영 경과 " 2022년까지 학교 현장의 원격 교육 확산과 안착을 중점 과제로 설정하였던 미래교육센터의 비전은  코로나19의 종식으로 인한 일상 회복으로 2023년 대폭 수정·개선되었다. 미래교육센터의 주요 역할은  기존 코로나19 확산으로 원격 교육역량을 중심으로 운영되던 시점과 현재 추진하고 있는 방향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  미래교육센터 담당자 집중 인터뷰(IDI, In-depth Interview)와 문헌 조사를 통해, 예비교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 지원 방안에 대한  미래교육센터의 역할을 재점검하고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고자 한다." ○ 이북보기 <KOFAC FOCUS>는 한국과학창의재단 사업에 특별한 포커스를 두고 관계된 국내외 사례를 조사하여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2023-12-19
1호 표지 이미지
FOCUS
[KOFAC FOCUS] 유휴시설 재생 문화공간 사례 및 과학문화 연계 방안 이승현 선임연구원 · 김혜영 연구원(한국과학창의재단 지역과학문화팀) ■ 요약 ◎ 배경 및 목적 - 과학기술문화 향유 수요 증대에 비해 제한적인 과학문화 인프라의 한계 극복을 위한 새로운 유형의 과학문화 공간 확보 필요 - 지역의 과학문화 접근성 강화 및 격차 해소를 위한 폐산업시설 재생 공간 활용 과학문화 확산의 가능성과 방안 모색 필요 - 과학기술 연관성이 높은 폐산업시설 재생 공간 4개 사례 답사로, 과학 프로그램 운영 등 과학문화 공간으로서의 활용 가능성 분석 ◎ 사례요약 "과거 제조, 의료, 자원 등 산업시설을 문화공간으로 리모델링하여 3년 이상 운영된 부천, 전주, 부산, 제주 소재 문화공간들은 기존 폐산업시설의 구조를 살려 공간 구성을 하고 있으나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에 초점을 두고 있어 산업기술의 과학기술사적 의의 및 과학원리와 관련된 프로그램들은 부재하다." ○ 이북보기 <KOFAC FOCUS>는 한국과학창의재단 사업에 특별한 포커스를 두고 관계된 국내외 사례를 조사하여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2023-12-19
FOCUS
[KOFAC FOCUS] SW 마이스터고등학교 디지털 교육 운영 현황 - SW 마이스터고등학교 지원 사업 현황에 따른 시사점 서무홍 연구원(한국과학창의재단 교육기부기획팀)   천세원 연구원(한국과학창의재단 SWAI인재양성팀)  ■ 작성배경 - SW 마이스터고등학교는 유망분야에 특화된 산업수요와 연계하여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특수목적고등학교임 - 각 산업계의 수요에 맞는 인재육성을 위해 정부 SW산업기반확충 내 내역사업 중 SW인재양성 사업의 일환으로 SW 마이스터고등학교 지원 사업이 있음 - 현재 4개교로 대전, 대구, 부산, 광주에 위치한 마이스터고등학교가 있으며, 해당 학교는 산업 현장에 필요한 SW 인력들을 양성하고 있음 - 본 보고서는 SW인재양성 사업 중 일환인 SW 마이스터고등학교 관련 사업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재단에서 수행 중인 SW인재양성 사업에 참고 및 신규 기획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작성하였음 ■ 주요내용 - (2023년 현황) 정보통신기획평가원에서는 해당사업의 일환으로 ʻ14년부터 ʻ23년까지 17,943백만원이 투입되어 SW마이스터고등학교 지원 사업으로 운영되고 있음  - SW 분야의 우수한 인재 양성을 위한 학교별 사업 지원, 학생 수요 기반의 사업 운영은 ʻ23년도 신규로 지원하고 있으며, SW교육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현장 중심의 교원 연수 및 양질의 취업처 확대 등을 위한 사업을 진행 중에 있음  - (시사점) SW산업에 미래인재양성을 위한 SW마이스터고에 대한 프로그램 및 특화 커리큘럼 등을 지원 사업으로 SW인재양성사업 추진에 해당내용 참고 필요 * 재단에서 추진하는 사업의 경우 초·중·고 등의 연계 프로그램 등 신규 사업을 기획하고, 추진할 필요성이 있기에 해당 사례를 검토 필요 ○ 이북보기 <KOFAC FOCUS>는 한국과학창의재단 사업에 특별한 포커스를 두고 관계된 국내외 사례를 조사하여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2023-12-19
ISSUE PAPER
[KOFAC ISSUE PAPER 2023-5]  인공지능 통제의 현주소와 디지털 권리장전 ■ 목차   1. 인공지능 통제와 윤리 표주의 현주소   2. 디지털 환경의 新질서, '디지털 권리장전'          …   <표1> 대한민국 인공지능 국가전략          …   <표2> 국내외 인공지능 주요 윤리 원칙 ○ 작성자 : 장미경(한국과학창의재단 정책기획실 선임연구원) ○ 이북보기 <KOFAC ISSUE PAPER>는 과학기술문화, 과학융합인재, 과학·수학·정보 교육에 관한 주요 현안이슈를 심층 분석하고 정책제언을 함으로써, 미래 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정책 수립 시 활용하고자 발행하고 있습니다.
2023-12-19


자료제공 정책기획실 : 02-559-3932

최종 수정일 : 2024-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