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지식/홍보
통계데이터
번 호 |
7-1 |
정책사업 |
종합원격교육연수 |
세부사업 |
교원연수(종합) |
시작 연도 |
2012 |
담당부서 |
종합교육연수원 |
담당자 |
허정회 |
수학・과학교육 종합교육연수 이수 현황
(단위: 개, 개, 명)
구분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계 |
과정 수 |
9 |
15 |
12 |
5 |
4 |
16 |
22 |
22 |
9 |
6 |
23 |
143 |
기수 |
9 |
47 |
12 |
5 |
11 |
35 |
46 |
30 |
9 |
9 |
68 |
281 |
이수 인원 |
1,324 |
10,674 |
2,193 |
927 |
2,650 |
4,146 |
5,478 |
2,833 |
456 |
713 |
1,239 |
32,633 |
자료출처 |
- 한국과학창의재단 종합교육연수원 |
||||
확보방법 |
- 2012년∼2018년 종합・원격교육연수원 연수 운영 실적 보고 결재문서 - 2019년∼2022년 종합교육연수원 연수운영위원회 보고안건 결재문서 |
||||
주석 |
- 과정 수는 구분이 되는 연수 과정의 개수, 기수는 연수 과정별 총운영 횟수의 합을 의미함 - 직무연수의 과정 수, 기수 및 이수 인원만 기재하고 자율연수는 포함하지 않음 |
||||
해설 |
-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비대면 실시간 쌍방향 연수 운영으로 전환 - 2022년 코로나19 팬데믹 완화로, 비대면 실시간 쌍방향 연수 및 집합 연수 병행 운영 |
창의인성교육 종합교육연수 이수 현황
(단위: 개, 개, 명)
구분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계 |
과정 수 |
3 |
5 |
17 |
23 |
12 |
18 |
3 |
7 |
8 |
7 |
12 |
115 |
기수 |
9 |
14 |
24 |
32 |
22 |
28 |
3 |
11 |
11 |
14 |
26 |
194 |
이수인원 |
986 |
2,114 |
3,497 |
4,221 |
1,658 |
1,408 |
130 |
335 |
507 |
453 |
769 |
16,078 |
자료출처 |
- 한국과학창의재단 종합교육연수원 |
||||
확보방법 |
- 2012년∼2018년 종합・원격교육연수원 연수 운영 실적 보고 결재문서 - 2019년∼2022년 종합교육연수원 연수운영위원회 보고안건 결재문서 |
||||
주석 |
- 과정 수는 구분이 되는 연수 과정의 개수, 기수는 연수 과정별 총운영 횟수의 합을 의미함 - 직무연수의 과정 수, 기수 및 이수 인원만 기재하고 자율연수는 포함하지 않음 - 2019년부터 창의인성교육 연수 분야는 창의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교원연수를 포함 |
||||
해설 |
-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비대면 실시간 쌍방향 연수 운영으로 전환 - 2022년 코로나19 팬데믹 완화로, 비대면 실시간 쌍방향 연수 및 집합 연수 병행 운영 |
교육정책 종합교육연수 이수 현황
(단위: 개, 개, 명)
구분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계 |
과정 수 |
12 |
37 |
27 |
22 |
22 |
20 |
25 |
24 |
30 |
41 |
33 |
293 |
기수 |
25 |
58 |
55 |
41 |
43 |
33 |
40 |
38 |
59 |
85 |
64 |
541 |
이수인원 |
1,062 |
3,884 |
2,464 |
1,862 |
2,371 |
4,122 |
4,319 |
6,439 |
5,224 |
9,141 |
7,123 |
48,011 |
자료출처 |
- 한국과학창의재단 종합교육연수원 |
||||
확보방법 |
- 2012년∼2018년 종합・원격교육연수원 연수 운영 실적 보고 결재문서 - 2019년∼2022년 종합교육연수원 연수운영위원회 보고안건 결재문서 |
||||
주석 |
- 과정 수는 구분이 되는 연수 과정의 개수, 기수는 연수 과정별 총운영 횟수의 합을 의미함 - 직무연수의 과정 수, 기수 및 이수 인원만 기재하고 자율연수는 포함하지 않음 - 2012년∼2018년 교육정책 연수 분야는 STEAM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교육기부 등 포함 - 2019년∼2022년 교육정책 연수 분야는 STEAM교육, SW・정보교육, 기타 등 포함 |
||||
해설 |
-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비대면 실시간 쌍방향 연수 운영으로 전환 - 2022년 코로나19 팬데믹 완화로, 비대면 실시간 쌍방향 연수 및 집합 연수 병행 운영 |
영재교육 종합교육연수 이수 현황
(단위: 개, 개, 명)
구분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계 |
과정 수 |
1 |
4 |
0 |
0 |
1 |
2 |
2 |
1 |
3 |
6 |
2 |
22 |
기수 |
4 |
5 |
0 |
0 |
1 |
2 |
2 |
1 |
4 |
6 |
2 |
27 |
이수인원 |
52 |
134 |
0 |
0 |
42 |
52 |
53 |
24 |
90 |
193 |
57 |
697 |
자료출처 |
- 한국과학창의재단 종합교육연수원 |
||||
확보방법 |
- 2012년∼2018년 종합・원격교육연수원 연수 운영 실적 보고 결재문서 - 2019년∼2022년 종합교육연수원 연수운영위원회 보고안건 결재문서 |
||||
주석 |
- 과정 수는 구분이 되는 연수 과정의 개수, 기수는 연수 과정별 총운영 횟수의 합을 의미함 - 직무연수의 과정 수, 기수 및 이수 인원만 기재하고 자율연수는 포함하지 않음 - 2014년과 2015년에는 영재교육 자율연수 운영 실적만 있으며, 직무연수 실적은 없음 - 2021년의 경우, SW교육 관련 영재교육 연수 과정 5개와 STEAM교육 R&E 연수 과정 1개 포함 - 2022년의 경우, SW교육 관련 영재교육 연수 과정 1개와 R&E 연수 과정 1개 포함 |
||||
해설 |
-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비대면 실시간 쌍방향 연수 운영으로 전환 - 2022년 코로나19 팬데믹 완화로, 비대면 실시간 쌍방향 연수 및 집합 연수 병행 운영 |
번 호 |
7-2 |
정책사업 |
종합원격교육연수 |
세부사업 |
교원연수(원격) |
시작 연도 |
2012 |
담당부서 |
원격교육연수원 |
담당자 |
허정회 |
수학・과학교육 원격교육연수 이수 현황
(단위: 개, 개, 명)
구분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계 |
과정 수 |
- |
3 |
2 |
3 |
3 |
3 |
1 |
1 |
2 |
4 |
27 |
49 |
기수 |
- |
18 |
10 |
11 |
11 |
5 |
4 |
4 |
10 |
63 |
421 |
557 |
이수 인원 |
- |
8,293 |
3,840 |
1,861 |
2,007 |
298 |
1,219 |
394 |
631 |
6,836 |
5,047 |
30,426 |
자료출처 |
- 한국과학창의재단 원격교육연수원 |
||||
확보방법 |
- 2012년∼2018년 종합・원격교육연수원 연수 운영 실적 보고 결재문서 - 2019년∼2022년 원격교육연수원 연수운영위원회 보고안건 결재문서 |
||||
주석 |
- 과정 수는 구분이 되는 연수 과정의 개수, 기수는 연수 과정별 총운영 횟수의 합을 의미함 - 직무연수의 과정 수, 기수 및 이수 인원만 기재하고 자율연수는 포함하지 않음 |
||||
해설 |
- 수학・과학교육 연수 분야의 다양한 신규 직무연수 과정 개발 및 개설 필요성이 대두됐음 - 2020년 과학교육 신규 연수 과정 개발 및 개설로 연수 과정 수, 기수, 이수 인원 등 전년 대비 증가함 - 2021년 초・중・고 과학실험 안전교육 연수 과정 개설・운영으로 연수 과정 수, 기수, 이수 인원 증가함 |
창의인성교육 원격교육연수 이수 현황
(단위: 개, 개, 명)
구분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계 |
과정 수 |
- |
15 |
15 |
17 |
9 |
9 |
9 |
6 |
6 |
4 |
10 |
100 |
기수 |
- |
15 |
60 |
77 |
45 |
45 |
39 |
30 |
105 |
68 |
105 |
589 |
이수 인원 |
- |
1,131 |
6,628 |
6,921 |
6,276 |
2,484 |
1,450 |
1,177 |
939 |
420 |
357 |
27,783 |
자료출처 |
- 한국과학창의재단 원격교육연수원 |
||||
확보방법 |
- 2012년∼2018년 종합・원격교육연수원 연수 운영 실적 보고 결재문서 - 2019년∼2022년 원격교육연수원 연수운영위원회 보고안건 결재문서 |
||||
주석 |
- 과정 수는 구분이 되는 연수 과정의 개수, 기수는 연수 과정별 총운영 횟수의 합을 의미함 - 직무연수의 과정 수, 기수 및 이수 인원만 기재하고 자율연수는 포함하지 않음 - 2019년부터 창의인성교육 연수 분야는 창의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교원연수를 포함 - 2021년의 경우,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원격교육 교원연수가 없었음 |
||||
해설 |
- 기수 증가는 이수 인원과 명확한 비례관계를 보이지는 않으나, 질적 측면의 고객서비스 강화로 볼 필요 있음 |
교육정책 원격교육연수 이수 현황
(단위: 개, 개, 명)
구분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계 |
과정 수 |
3 |
3 |
8 |
8 |
12 |
9 |
8 |
8 |
9 |
8 |
6 |
82 |
기수 |
15 |
24 |
40 |
53 |
48 |
29 |
33 |
40 |
87 |
108 |
121 |
598 |
이수 인원 |
14,013 |
24,264 |
19,068 |
8,774 |
6,493 |
7,900 |
8,853 |
4,102 |
3,217 |
1,935 |
1,603 |
100,222 |
자료출처 |
- 한국과학창의재단 원격교육연수원 |
||||
확보방법 |
- 2012년∼2018년 종합・원격교육연수원 연수 운영 실적 보고 결재문서 - 2019년∼2022년 원격교육연수원 연수운영위원회 보고안건 결재문서 |
||||
주석 |
- 과정 수는 구분이 되는 연수 과정의 개수, 기수는 연수 과정별 총 운영 횟수의 합을 의미함 - 직무연수의 과정 수, 기수 및 이수 인원만 기재하고 자율연수는 포함하지 않음 - 2012년∼2018년 교육정책 연수 분야는 STEAM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교육기부 등 포함 - 2019년∼2021년 교육정책 연수 분야는 STEAM교육, SW・정보교육, 기타 등을 포함하며, 대다수의 이수 인원은 STEAM교육과 SW・정보교육 교원연수에 속함 |
||||
해설 |
- 원격교육 수학・과학교육, 창의인성교육, 교육정책 연수 분야 중 교육정책 분야의 연수 과정 수 및 이수 인원이 상대적으로 높음 - 기수와 이수 인원이 명확한 비례관계에 있지 않아, 기수의 증가는 고객(수강자)서비스 향상이라는 질적인 관점에서 볼 필요가 있음 - 2012년∼2014년은 교육정책 분야의 교원연수 대부분은 STEAM교육 관련 연수로, 교육부와 재단은 STEAM교육(융합인재교육)을 도입하고, 주요 초・중・고 교육정책으로 표방하며 STEAM교육 교원연수를 활발하게 운영하던 시기임 |
번 호 |
7-3 |
정책사업 |
수학・과학 교과용 도서 검정 |
세부사업 |
교육 콘텐츠 개발 |
시작 연도 |
2010 |
담당부서 |
교과서검인정팀 |
담당자 |
윤용 |
과학 교과서 검정 및 인정도서 수
구분 |
검정도서 심사 |
인정도서 감수 (2009 개정) |
|||||
2007 개정 |
2015 개정 |
||||||
심사 |
합격 |
심사 |
합격 |
||||
초등 학교 |
3~4 학년 군 |
서책 |
- |
- |
108 |
108 |
- |
디지털 |
- |
- |
8 |
4 |
- |
||
5~6 학년 군 |
서책 |
- |
- |
132 |
84 |
- |
|
디지털 |
- |
- |
9 |
6 |
- |
||
중학교 |
1학년 |
서책 |
- |
- |
10 |
10 |
9 |
디지털 |
- |
- |
5 |
2 |
- |
||
2학년 |
서책 |
17 |
10 |
10 |
10 |
9 |
|
디지털 |
- |
- |
5 |
5 |
- |
||
3학년 |
서책 |
9 |
9 |
10 |
8 |
9 |
|
디지털 |
- |
- |
4 |
4 |
- |
||
고등 학교 |
과학과 |
- |
- |
65 |
63 |
40 |
|
계 |
26 |
19 |
366 |
304 |
67 |
자료출처 |
- 대한민국관보 “년도 별 검정도서 합격 공고” |
||||
확보방법 |
- 재단이 직접 관보 공고 |
||||
주석 |
- 2015 개정 검정도서 수 경우 (교과용 도서 종수)*(발행사)로 산출 - 2015 개정 과학과 교과용 도서 종수 ∙ 서책형 교과용 도서: 초등학교(12권), 중학교(2권), 고등학교(1권) ∙ 디지털교과서: 초등학교・중학교(1권) |
||||
해설 |
- 해당 사항 없음 |
수학・과학 교과서 개발 및 검・인정 현황
구분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초1, 2 (수학) |
개발 |
적용 |
|
|
|
|
|
|
초3, 4(수학, 과학) |
개발 |
적용 |
|
|
|
|
|
|
초3, 4(수학, 과학) |
|
|
|
|
|
검정 |
적용 |
|
초5, 6(수학, 과학) |
|
개발 |
적용 |
|
|
|
|
|
초5, 6(수학, 과학) |
|
|
|
|
|
|
검정 |
적용 |
중1(수학, 과학) 고(수학, 수학Ⅰ, 수학Ⅱ,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 물리학Ⅰ, 물리학Ⅱ, 화학Ⅰ, |
|
검정 |
적용 |
|
|
|
|
|
중2(수학, 과학) 고(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
|
|
검정 |
적용 |
|
|
|
|
중3(수학, 과학) |
|
|
|
검정 |
적용 |
|
|
|
중1 과학 디지털교과서 |
|
검정 |
적용 |
|
|
|
|
|
중2 과학 디지털교과서 |
|
|
검정 |
적용 |
|
|
|
|
중3 과학 디지털교과서 |
|
|
|
검정 |
적용 |
|
|
|
초3, 4(과학) 디지털교과서 |
|
|
|
|
|
검정 |
적용 |
|
초5, 6(과학) 디지털교과서 |
|
|
|
|
|
|
검정 |
적용 |
자료출처 |
-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개정 고시에 따른 교과용 도서 구분 고시 |
||||
확보방법 |
- 교육부 공문 |
||||
주석 |
- 해당 사항 없음 |
||||
해설 |
- 해당 사항 없음 |
번 호 |
7-4 |
정책사업 |
국정디지털교과서수정보완 |
세부 사업 |
2020학년도 적용 국정 디지털교과서 수정・보완 |
시작 연도 |
2018 |
담당 부서 |
교과서검인정팀 |
담당자 |
- |
사업 예산
(단위: 백만원)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10 |
30 |
73 |
74 |
74 |
연도별 수정・보완 도서 및 책 수
(단위: 권)
연도 |
수정・보완 도서 |
책 수 |
2018 |
과학 3-1, 과학 3-2, 과학 4-1, 과학 4-2 |
4책 |
2019 |
과학 3-1, 3-2, 4-1, 4-2, 5-1, 6-1 |
6책 |
2020 |
과학 3-1, 3-2, 4-1, 4-2, 5-1, 5-2, 6-1, 6-2 사회 3-1, 3-2, 4-1, 4-2, 5-1, 5-2, 6-1, 6-2 |
16책 |
2021 |
과학 3-1, 3-2, 4-1, 4-2, 5-1, 5-2, 6-1, 6-2 사회 3-1, 3-2, 4-1, 4-2, 5-1, 5-2, 6-1, 6-2 |
16책 |
2022 |
과학 3-1, 3-2, 4-1, 4-2, 5-1, 5-2, 6-1, 6-2 사회 3-1, 3-2, 4-1, 4-2, 5-1, 5-2, 6-1, 6-2 |
16책 |
자료출처 |
- 교육부 위탁사업 협약서 |
||||
확보방법 |
- 연도 별 협약 사항 |
||||
주석 |
- 해당 사항 없음 |
||||
해설 |
- 해당 사항 없음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이전글
- 경영 및 기타 지표
- 다음글
- SW-AI교육사업
자료제공 정책기획실 : 02-559-3899
최종 수정일 : 2023-01-20